지자체 연계 교육사업
미래 탐구공동체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허브-지자체 연계학습생태계 구축사업
미래교육허브는 미래 재능교육, 융합교육에 관심은 있지만 교육비의 부담과 정보의 접근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
스스로 재능을 발견하고 공동체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교육복지의 토대를 만들기 위해
지자체와 협업하여 자기주도기반 학습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사업을 시범적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
미래교육허브
○ (소개) 미래교육허브는 모두가 모여 새롭게 변화하는 미래사회의 필수역량을 자기주도적인 연결을 통해 향상하고자 하는 교육 플랫폼
○ (대상) 전국의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함
○ 홈페이지 : http://nehub.net/
미래교육허브 실적
2020년 4월 데이터와 인공지능 수업 : 전국 1000여명 학생 대상 교육 수행
○ 2020년 1학기 개방형재능교육 : 전국 62개교(160학급) 융합(HINTS)교육 수행
※ 서울시내 지자체와 협력하여 교육복지의 차원에서 확장하고자 함
미래교육허브 운영주체
○ 미래교육허브는 미래융합교육연구소와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운영
지자체와 연계방안
○ 지차체 : 학생(초4~중3) 홍보 및 모집
○ 미래교육허브 : 교육 및 콘텐츠, 학습 플랫폼(학습 생태계), 학생 멘토링 제공
※ 교육비 무료
연계사업(제안)
○ 성북구 건강가정·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함께 다문화 및 한부모 가정 학생을 위한 8주간의 온라인 교육을 진행할 예정임(11월 시작 예정)
○ 본 사업에 지자체의 참여를 원할 경우, 첨부한 신청서 제출(공문 혹은 이메일)
주제 | 주차 | 내용 |
---|---|---|
창의성 | 1 | 표정을 활용한 감정(정서) 민감성을 발달시키는 활동입니다. 표정을 관찰한 후, 감정의 종류에 따라 표정의 이름과 감정 무게를 정의합니다. 나만의 감정 지도를 완성하여 정서에 대한 민감성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. |
2 | 단계적 접근 방식으로 숲, 지구를 관찰합니다. 다양한 높이에서 관찰하는 활동을 통해 관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. 그림을 관찰한 후, 나의 생각과 다른 점을 찾아 수정합니다. 형식 깨기 활동을 통해 다각적으로 사고해보며 경험과 문화의 다양성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. |
|
영화와 표현 | 3 | 청소년 및 인디 영화를 감상하며 영화 속 다양한 문화와 표현 방법을 이해합니다. 다양한 영화를 활용하여 문화와 표현을 탐구하고, 나만의 관점으로 표현된 독창적인 콘텐츠를 생성합니다. 제시된 주제를 학습 동료와 함께 토론하며 다른 친구들의 경험과 표현을 배울 수 있습니다. |
4 | ||
문자와 언어 | 5 | 다양한 소리를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, 의미를 전달하는 소리의 특징을 탐구합니다. 인간의 진화 과정이 인간의 말소리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며 미래의 말소리에 대해 탐구할 수 있습니다. |
6 | 시간에 따라 그림 문자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탐구해 보고, 초기 형태의 문자인 쐐기문자, 상형문자, 갑골문자에 대해 알아봅니다. 표음문자와 표의문자를 분류하고, 한글의 탄생 배경 및 원리를 탐구합니다. |
|
소리와 음악 | 7 | 소리의 생성되는 원리와 소리가 전달되는 과정을 탐구합니다. 소리 비교를 통해 소리의 파형을 탐구하고, 소리별 특징과 속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 |
8 | 음악의 요소와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, 컴퓨터로 나만의 노래를 연주하는 활동입니다. 모델링 도구의 블록 조합으로 나만의 노래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. |
문의
○ 담당자 : 심재권(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연구교수)
○ 연락처 : 02-3290-2926 / 이메일 : gift@korea.ac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