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미로콘텐츠 중등]
14. AI 심판
심판의 판정 오류 및 편파 판정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, 심판의 오심 (착시현상)이 발생하는 원인을 뇌의 인지 과정에서 탐구합니다. 로봇 심판의 사례 및 작동 원리와 AI 심판이 도입되었을 때의 장단점을 탐구한 후, 스포츠별 규칙 특징에 따라 나만의 AI 심판의 정보 수집 위치 및 판정 알고리즘을 만들어 봅니다.
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뇌인지과학, 스포츠, 로봇, 알고리즘 등의 분야에 대한 자신의 관심과 흥미를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. 또한, 관리-경영의 관점에서 로봇 심판이 도입된 미래 사회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.
관련 역량
[1단계] 현상탐구
심판의 판정 오류
심판의 판정 오류 및 편파판정과 관련된 내용 탐구하고, 해당 현상에 대한 나의 감정과 느낌 판단하기
- 스포츠 심판의 오심 및 편파판정 사례 살펴보기
- 심판의 오심 및 편파판정과 관련 있는 속성 탐구하기
- 처음 현상을 접하자마자 느낀 감정과 현상을 이해하고 난 뒤의 감정 판단하기
[2단계] 개념 및 미래 변화 이해
인간의 인지 과정과 AI 심판
심판의 오심이 발생하는 원인을 뇌의 인지 과정에서 탐구하고, AI 심판의 도입된 미래 사회 상상하기
- 인간의 뇌가 시각 정보를 인지 과정과 착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 탐구하기
- 로봇 심판의 사례 및 로봇심판의 작동 원리와 장단점 탐구하기
- 로봇 심판 도입이 바꿀 미래 사회의 변화 상상하기
[3단계] 아이디어 개발
AI 심판 알고리즘 만들기
스포츠별 경기장과 규칙 특징에 따라 AI 심판의 정보습득 위치 및 판정 알고리즘 만들기
- 스포츠별 규칙 알아보고, 판단 기준 정리하기
- 스포츠별 경기장의 형태 및 스포츠 특징에 따라 정보 수집 위치 선정하기
- 로봇의 판정 순서도 알고리즘 만들기